무역 기초 용어 - Part3 인코텀즈
인코텀즈 (INCOTERMS)는 International Commercial Terms의 약자로 국제 상업 조건이라는 뜻입니다.
국제 상거래에서 판매와 구매, 즉 수출과 수입 자체는 단순하지만 운송과 통관이 더해지면 복잡해지는데 이 과정을 나눈 것이 ‘인코텀즈’입니다.
문제나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제상업회의소가 정한 것이 인코텀즈이며 인코텀즈는 특정란 거래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세 정의하고 국제거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비용과 위험에 대해 수출자 또는 수입자 중 누가 부담할지 명확히 규정해 놓고 있습니다.
제품이 수출되고 수입되는 과정 중에는 제품이 파손의 위험이 있고 각종 비용이 발생되는데 인코텀즈는 제품이 수출, 수입되는 것을 몇 개의 과정으로 분류했고 그 분류에 따라 수출자와 수입자의 비용과 위험 분담이 어디까지인지를 규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인코텀즈의 규정으로는 EXW, FCA, FAS, FOB, CFR, CIF, CPT, CIP, DAF, DES, DEQ, DDU, DDP까지 총 13개 규정이 있었으나 DAF, DES, DEQ, DDU 가 없어지고 DAT, DAP가 새로 생성되어 현재는 총 11개의 규정이 있습니다. (EXW, FCA, FAS, FOB, CFR, CIF, CPT, CIP, DDP, DAT, DAP)
제대로 인코텀즈를 배우기 위해 수출 시 일어날 수 있는 파손의 위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포장
화물을 컨테이너에 싣는 중에 화물파손의 위험이 있습니다. 특수한 포장일 경우에는 파손이 아니더라도 특수포장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국내 운송
항구까지 운송비가 발생하며 배송 중 화물 파손의 위험이 있습니다.
• 항구 도착
항구이 도착한 컨테이너는 배에 실리기 전, 일단 한 곳에 모아둡니다. 이때도 화물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여러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 수출 통관
통관을 자체적으로 할 경우에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지만 외부전문기관을 통해서 할 경우 비용이 발생합니다.
•선박 적재
적재 중거나 적재 후에 화물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이때도 비용이 발생합니다.
•운송
배에 실린 화물은 수입지까지 배송되는데, 배송 중에 태풍 등을 만나거나 기타 이유로 화물 파손의 위험이 발생합니다.
• 수입지 항구 도착
컨테이너를 모아두는 장소까지 운송 및 보관을 하는데 비용이 발생하며 화물 파손에 대한 위험도 있습니다.
• 수입통관
수출과 마찬가지로 자체적으로 통관하는 경우 비용이 없지만 외부 통관전문기관인 관세사를 통해 진행할 경우 비용이 듭니다.
• 운송
통관이 완료된 화물은 인수한 후 수입자의 창고까지 운송되며 운송 중 화물 파손의 위험이 있고 운송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다음 글에서는 인코텀즈의 규정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